목록Python (215)
가오리의 코딩일기

num = int(input()) total = 0 for i in range(num+1): total += i print(total)

m, d = map(int, input().split()) day = 0 dayList = [31, 28, 31, 30, 31, 30, 31, 31, 30, 31, 30, 31] weekList = ["SUN", "MON", "TUE", "WED", "THU", "FRI", "SAT"] for i in range(m-1): day = day + dayList[i] day = (day+d) % 7 print(weekList[day])

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1, 10): print('{} * {} = {}'.format(n, i, n*i)) 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1, 10): print(f"{n} * {i} = {n*i}")

a = input() for i in range(0, len(a), 10): print(a[i:i+10])

count = int(input()) num = list(input()) total = 0 for i in num: total += int(i) print(total)

while True: try: string = input() print(string) except: break
1. 배열≒상자 -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변수로 정의 - 원하는 번호로 검색해서 한 번에 찾을 수 있음 - 메모리 삭제 시 공간이 그대로 있음(→낭비) - 주소를 하나 추가했을 때 뒤로 한 칸씩 밀려서 저장됨 2. 리스트≒화살표 - 서로 다른 자료형의 데이터들도 하나의 변수로 정의할 수 있음 - 배열처럼 검색해서 한 번에 찾아가는게 아니라 순차적으로 넘어감 - 메모리 삭제 시 그 주소와의 연결을 끊고(?) 다음 주소와 연결해버림 - 주소를 하나 추가했을 때 빈 공간에 저장해두고 바로 연결 [93]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1 정보 선생님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상한 출석을 부른다. 선생님은 출석부를 보고 번호를 부르는데, 학생들의 얼굴과 이름을 빨리 익히기 위해 번호를 무작위(랜덤)으로 부른다..